mosa2y2uDa.png
욕창예방하기

환자를 돌려 눕히기. 침대에 누워지내는 환자를 돌볼 때는 두 시간에 한 번씩 몸을 움직여준다. 환자를 다른 방이나 침대로 옮길 필요는 없다. 하지만 같은 부위에 압력에 가해지 않도록 자세를 바꿔줘야 한다.
예를 들어 환자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돌려 눕힌다. 베개로 환자를 받쳐도 된다.
본인이 침대에 누워지내야 하는 상황이라면 침대에 손잡이를 설치해서 스스로 자세를 바꾼다. 이 방법은 기구를 이용할 수 있을 정도로 기력이 있을 때만 사용할 수 있다.
환자가 척수 부상 등 어떤 부상을 입은 경우에는 부상을 악화시키지 않는 방법으로 몸을 움직인다.
1. 자세변경 준비
-자세변환용구나 쿠션, 수건 등을 준비합니다.
-상태를 확인하고 옆으로 누운 자세로 바꾼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침대를 수평으로 맞추고, 요양보호사의 허리 높이로 침대를 올립니다.
-요양보호사 쪽의 침대 난간은 내리고 반대쪽 난간은 반드시 올립니다.
mosaPzMItk.png
욕창예방을 위한 체위변경 방법

2. 자세변경
-몸을 돌릴 쪽에 자세변환 용구 2개를 나란히 놓습니다.
*짧은 자세변환 용구는 쇄골에서 배꼽. 긴 자세변환 용구는 다리 전체를 얹을 위치에 놓습니다.
-몸을 돌릴 쪽의 팔이 눌리지 않도록 위로 올립니다. 
다른 쪽 팔은 배 위에 올립니다.
-몸을 돌릴 쪽 발에 다른 쪽 발목을 포갭니다.
-어깨와 허벅지 부분에 손을 얹고 몸을 옆으로 도립니다.
-다리를 가볍게 굽혀서 자세변환 용구 위에 얹습니다.
3. 자세지지(편안하지 물어보기)
-자세변환 용구에 가슴과 팔을 기대도록 하여 상반신의 압력을 분산시킵니다.
-안정적으로 체중을 실을 수 있도록 다리를 충분히 벌려줍니다.
mosan5F0ag.png
엎드려 누운자세


1.자세변경 준비
-등 마사지, 등이나 엉덩이 부분 욕창 치료 시 활용합니다.
-침대를 수평으로 합니다.
-요양보호사의 허리 높이로 침대를 올립니다.
-요양보호사 쪽의 침대 난간은 내리고 반대쪽 난간은 반드시 올립니다.
2. 자세변경
-수급자의 얼굴이 향하고자 하는 방향의 반대편 어깨와 엉덩이 부분을 잡고, 
통나무를 굴리듯이 뒤로 뒤집습니다.
-몸통 아래로 들어간 팔을 빼냅니다.
3. 자세지지
-작은 베개를 머리에 댑니다.
-배에 베개를 댑니다.
-다리 밑에 베개를 댑니다.

mosanLY8nw.png
적절한 영양공급하

영양이 부족하면 욕창이 생길 수 있다.[7] 특히 환자가 입으로 또는 자신의 힘으로 충분한 칼로리를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에 특히 빨리 욕창이 생긴다. 환자가 과일, 채소, 도정하지 않은 곡물, 살코기로 구성된 균형잡힌 식사를 하도록 한다.
환자가 먹으면 안 되는 음식을 확인한다. 환자마다 영양상 필요에 따라 각자 식단을 처방받는다.
mosahqPaGb.png
​수분공급하기

수분 공급하기.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려면 계속 수분을 공급해야 한다. 환자가 물을 얼마나 마셔야 하는지 모르겠다면 의사에게 물어본다. 병과 상태에 따라 섭취해야 하는 물의 양이 다르다.
주스로 수분과 영양분을 공급해도 된다.
mosafZNdBk.png
욕창의 초기 징후 알아보기

창은 오랜 시간에 걸쳐 생긴다. 욕창 초기에는 홍반이 없어지지 않고 국소적으로 자주색이나 갈색으로 변색되거나 피부가 상하지는 않았으나 아프거나 단단하거나 물컹하거나 무르고 주변 조직과 체온이 다르다.[10] 이런 증상들이 나타나면 조직이 손상되거나 상처가 생기고 있는 초기 단계임을 알 수 있다.
mosayFRUn3.png
감염의 징조 살피기. 

욕창을 발견하면 감염되었는지 살펴본다. 감염이 되면 열이 나고, 욕창 주위가 불그스름하며, 고름이 흐르고, 피부 아래 조직이 말랑거리기 때문에 고름이 차 있거나 썩어들어 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mosa8iW7FK.png
욕창 감싸기. 

일단 감염된 것이 확인되면 의사에게 적절한 치료 방법을 문의한다. 보통 의사는 식염수에 적신 거즈를 사용하라고 권한다. 거즈는 하루에 한두 번 갈아야 한다. 이 과정에서 괴사된 피부가 제거되면서 건강한 조직이 생성되어 상처가 낫는다. 궤양의 크기에 따라 낫는 데 4-6주 걸린다.
마른 거즈를 맨 위에 놓는다. 욕창 주변 피부도 상처와 마찬가지로 젖으면 안 된다.[12]
욕창의 크기와 깊이, 삼출물의 양에 따라 드레싱의 종류가 다르다.[13] 환자에게 사용할 드레싱과 기술에 대해 의사와 상의한다
mosaaCAUhU.png
전용 세척제 사용하기. 

욕창이 아물어가는 피부를 과산화수소나 베타딘으로 닦으면 안 된다. 순한 비누와 따뜻한 물로 상처를 세척한다. 아니면 물로 씻어내지 않아도 되는 순한 세척제로 상처를 세척한다.[14]
의사가 회복을 돕기 위해 효소액이나 화학물질로 괴사된 피부를 제거한다. 괴사된 피부가 많은 경우에는 대부분 수술로 제거해야 한다.[15]
효소 성분, 구더기, 고압 물 분사기로 욕창을 세척할 수 있다.
mosacRoUUe.png
항생제 사용하기. 

욕창 부위가 감염된 경우에는 전신 항생제를 처방받는다. 전신 항생제는 감염된 부위와 피부를 아물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골반 부위에 욕창이 생겼을 때 뼈까지 감염되는 일이 적지 않다. 이런 경우에는 정맥 투여 항생제가 필요하다.

mosas7x4ox.png
와상환자분들에게 가장 무서운 욕창
오랫동안 같은 부위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 쉽게 생깁니다. 
천장을 보고 바로 누운자제에서는 머리 뒤쪽, 어깨,
팔꿈치, 척추 엉덩이 등에 잘 생기며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는 귀, 어깨, 팔꿈치, 고관절, 허벅지,
종아리, 복숭아뼈 등에 욕창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특정 부위가 압력이 생기지 않도록 규칙적으로 자세를 
바꿔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스크린샷_2025-01-05_21065612.JPG